순차 탐색(Sequential Search)
데이터를 찾아보자! 이 강좌에서 알게될 ‘순차 탐색(Sequential Search)’는 바로 데이터가 모인 데이터 배열이 있으면 이 데이터 배열의 처음부터 끝까지 차례대로 비교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찾아내는 알고리즘입니다.… 더 보기 »순차 탐색(Sequential Search)
데이터를 찾아보자! 이 강좌에서 알게될 ‘순차 탐색(Sequential Search)’는 바로 데이터가 모인 데이터 배열이 있으면 이 데이터 배열의 처음부터 끝까지 차례대로 비교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찾아내는 알고리즘입니다.… 더 보기 »순차 탐색(Sequential Search)
데이터를 빠르고 쉽게 정렬 알고리즘(sorting algorithm) 정렬의 사전적 의미는 ‘데이터를 특정한 조건에 따라 일정한 순서가 되도록 다시 배열하는 일’를 말하는 것으로 예를들자면 학교에서 각 반… 더 보기 »정렬 알고리즘(sorting algorithm)
특별한 트리를 기본으로 하는 자료구조! 오늘은 ‘힙(Heap)’이란 자료구조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. 이 힙(Heap)이란 자료구조는 위키백과에 따르면 ‘특별한 트리를 기본으로 하는 자료구조이다.’라고 설명되어 있습니다. 여기서 특별한… 더 보기 »힙(Heap)
나무와 유사한 계층적 구조! 오늘 배우게 될 트리(Tree)란 자료구조는 나무와 유사하게 계층적 구조를 띄고 있는 자료구조입니다. 트리 그대로죠. 나무에 뿌리와 가지, 잎이 있듯 트리라는 자료구조에서도… 더 보기 »트리(Tree)
원형이 아닌 직선으로! 이번엔 순환 큐(Circular Queue)가 아닌, 링크드 큐(Linked Queue)입니다. 링크드가 하니 링크드 리스트가 떠오르지 않나요? 비슷합니다. 링크드 큐의 노드에도 그 노드의 다음을 가리키는… 더 보기 »링크드 큐(Linked Queue)